본문 바로가기

2024년 엘리뇨, 라니냐 현상 변화 및 차이점 - 해수면 온도, 기온, 강수량 변화, 주요 영향

News Letter 2024. 6. 3.

엘리뇨, 라니뇨 현상 차이점 및 변화
엘리뇨, 라니뇨 현상 차이점 및 변화

2024년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의 차이점, 2022~2023년과의 비교 및 영향 분석을 다룹니다.
해수면 온도 변화, 기온 변화, 강수량 변화, 주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엘리뇨와 라니냐란 무엇인가?

엘리뇨(El Niño)와 라니냐(La Niña)는 열대 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의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엘리뇨는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라니냐는 반대로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 두 현상은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각각 온난화와 한랭화를 유발합니다.

2. 2022년~2023년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2022년~2023년 엘리뇨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강력한 엘리뇨 현상이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기후 이상을 초래했습니다. 남미에서는 극심한 가뭄과 홍수가 발생했으며, 브라질에서는 기록적인 고온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된 라니냐는 북미와 아시아에 강한 한파와 비정상적인 기후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북미에서는 강설량이 증가하고, 아시아에서는 몬순이 약화되어 일부 지역에 가뭄이 발생했습니다.

3. 2024년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2024년 엘리뇨

2024년 초반, 엘리뇨는 점차 약화되었으며, ENSO 중립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기온 상승과 폭염 현상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2024년 라니냐

2024년 중반부터는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강한 엘리뇨 이후의 자연스러운 전환으로, 북미에서는 한파가 예상되고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는 강수량 감소로 인한 가뭄이 우려됩니다

4. 엘리뇨와 라니냐의 차이점

엘리뇨와 라니냐는 해수면 온도의 변동뿐만 아니라, 기후와 날씨 패턴에도 상반된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 표는 엘리뇨와 라니냐의 주요 차이점을 요약한 것입니다.

  엘리뇨 라니냐
해수면 온도 상승 하락
기온 상승 하락
강수량 지역별로 다름 지역별로 다름
주요 영향 홍수, 폭염 가뭄, 한파

4.1 해수면 온도 변화

엘리뇨는 태평양 동부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1°C에서 3°C까지 상승합니다. 이는 동태평양에서의 상승 기류와 약화된 무역풍에 의해 발생합니다. 반대로 라니냐는 태평양 동부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1°C에서 3°C까지 하락합니다. 이는 강한 무역풍과 상승하는 해류에 의해 발생합니다.

4.2 기온 변화

엘리뇨는 전 세계적으로 기온 상승을 유발합니다. 이는 따뜻한 해수가 대기 중으로 더 많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라니냐는 반대로 기온 하락을 유발하며, 이는 차가운 해수가 대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엘리뇨 동안 남미에서는 기록적인 고온 현상이 나타났으며, 반면 라니냐 동안에는 북미와 아시아에서 강한 한파가 발생했습니다.

4.3 강수량 변화

엘리뇨는 일부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강수량 증가를 유발하며, 이는 종종 홍수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남미에서는 엘리뇨 동안 강수량이 증가하여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라니냐는 일부 지역에서 강수량 감소를 유발하며, 이는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는 라니냐 동안 강수량이 감소하여 가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4 주요 영향

엘리뇨와 라니냐는 기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엘리뇨는 일반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기후를 유발하며, 이는 홍수와 폭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라니냐는 차갑고 건조한 기후를 유발하며, 이는 가뭄과 한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엘리뇨와 라니냐는 모두 기후와 날씨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측과 대비가 중요합니다. 특히, 기후 변화가 이러한 현상의 빈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출처

댓글